※ [오답 체크] * 시험밸브: 스프링클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밸브 * 개폐밸브: 펌프 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하는 밸브 * 성능시험배관 : 정기적으로 펌프의 성능을 시험하여 펌프 성능곡선의 양부 및 방수압과 토출량을 검사하기 위해 설치하는 배관.
연소란 가연물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 ㉠ ) 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하면서 ( ㉡ ) 하는 현상을 말한다.
㉠ 산소와 친화력이 크다 ㉡ 활성화 에너지가 크다. ㉢ 열전도율이 작다. ㉣ 비표면적이 작다.
※ [오답 체크] * ① 발화점은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물질 자체의 열 축적에 의해 발화가 되는 최저 온도이다. * ③,④ 동일 물질 내 발화점은 연소점과 인화점보다 높다, 일반적으로 발화점> 연소점 > 인화점 순이다.
㉠ 유흥주점 영업시설 ㉡ 수련 시설 ㉢ 종교 시설 ㉣ 의료 시설 ㉤ 문화 및 집회시설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물 관계자 또는 자체소방대원이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소화활 수 있도록 건물 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 방화문에 고임장치(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 계단, 복도 등에 방범철책 등을 설치하였다.
* 구 조 : 감열실, 다이어그램, 리크구멍, 접점 등으로 구분 * 동작원리 : 화재 시 온도가 상승하면 감열실 내의 공기가 팽창,다이어그램을 압박한다, 이때 접점이 붙어 화재 신호를 수신기에 보낸다.
※ [오답 체크] ① 펌프방식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를 설치하여 소화전의 개폐밸브 개방 시 배관 내 압력 저하에 의하여 압력스위치가 작동함으로써 펌프를 기동하는 방식 ② 고가수조방식 : 고가수조로부터 자연낙차압을 이용하는 방식 ④ 가압수조방식 : 별도의 압력탱크에 가압원인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 고압기기체에 의해 소방용수를 가압하여 송수하는 방식으로 , 전원이 필요없다.
※ [오답 체크] ① 피난경로에는 장애물을 적치하지 않아야 한다. ② 방화문은 상시 닫혀 있어야 한다. ③ 방화문을 철거해서는 안 된다.
☞ [25년_에듀윌_[[ P217__ 13번 알아보기 참조 ]]]
㉠ 액체석유가스(LPG)의 주성분은 매탄(CH₄0이다. ㉡ 액화천연가스(LNG)의 주 사용용도는 도시가스이다. ㉢ 액화천연가스(LNG)에 비해 액체석유가스(LNG)의 비중이 높다 ㉣ LPG,LNG 두 연료가스 모두 누출 시 낮은 곳에 체류한다.
☞ [25년_에듀윌_[[ P219__17 번 그림 참조 ]]] ※ [알아 보기] ⇒ 송배선식 배선 * 도통시험(선로의 정상 연결 유무 확인)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배선으로 수신기에서 갑자기 사이회로의 단선 유무와 기기 등의 접속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배선방식이다.
☞ [25년_에듀윌_[[ P220__ 18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21__ 20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22__ 21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24__ 24번 그림 참조 ]]] ※ [알아 보기] ⇒ 전역방출방식 * 전역방출방식이란 고정식 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산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 내에 소호약제를 방출하는 설비를 말한다.
☞ [25년_에듀윌_[[ P225__ 26번 그림 참조 ]]]
※ [알아 보기] ⇒ 초기대응체계의 구성 * 자위소방대에 포함하여 편성한다. * 화재 발생 초기 신속하게 대응할수 있도록 구성한다. *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이 이용되는 기간 동안에는 상시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 화재 초기 비상연락, 초기소화 및 피난유도 등의 기본기능과 대상물 특성을 반영한 특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역별 소규모팀으로 편성한다.
㉮ 반응의 확인: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여보세요.괜찮으세요?" 라고 물어본다. ㉯ 119 신고 : 환자의 반응이 없는 경우 즉시 큰 소리로 주변 사람에게 119 신고를 요청한다. ㉰ 호흡확인 : 쓰러진 환자의 코 가까이에 손을 대어 호흡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 인공호흡 시행 : 인공호흡 방법을 모를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한다. ㉲ 가슴압박 시행 : 환자의 왼쪽 가슴뼈(흉골) 아래쪽에 체중을 실어서 가슴압박을 시행한다. ㉳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 : 심장충격(제세동)을 실시한 뒤에는 즉시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다시 시작한다.
※ [알아 보기] ⇒ 응급처치의 기본원칙 * 긴박한 상황에서도 구조자는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한다. * 응급환자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한 구조요원은 지형, 환경,주변상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제2의 안전사고 발생 등의 우려를 참고하여 구조에 전념하며 사고 발생에 유념해야 한다. * 응급처치 및 사전에 보호자 또는 당사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어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당황하거나 흥분하지 말고 침착하게 사고의 정도와 환자의 모든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환자에게 필요 이상의 움직임을 금하고 안전을 유지한다. * 응급처치와 동시에 119구조,구급대, 경찰,병원 등에 응급구조를 요청한다. 구조 요청 시 사고위치 및 시간, 사고의 종류 및 환자 상태 , 부상자 수,성별,예측되는 위험 등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알린다. * 환자 상태를 관찰하며 모든 손상을 발견하여 처치하되 불확실한 처치는 하지 않는다. 의식이 있으면 직접 환자와 대화하며 처치를 실시하고,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기도를 개방하고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 환자 상태를 확인하며, 보호자나 목격자와의 대화를 통해 발생상황 및 환자 상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 [25년_에듀윌_[[ P228__ 30번 그림 /표 참조 ]]] ※ [오답 체크] ① 자위소방대의 각 팀별 최소 편성 인원은 2명이다. ② 피난유도팀은 피난약자에 대한 피난보조 활동뿐만 아니라 재실자, 방문자의 피난유도를 실시해야 한다. ④ 지휘통제팀은 화재 시 각 팀을 지휘하고 상황을 보고 받으며, 실시간 화재상황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
☞ [25년_에듀윌_[[ P228__ 31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29__ 32번 그림 참조 ]]]
㉠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스위치 누름 ㉡ 경계구역별 동작버튼 누름 ㉢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스위치 복구 ㉣ 화재표시등, 각 지구(경계구역)표시등 등의 정상여부 확인
☞ [25년_에듀윌_[[ P231__ 35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32__ 36번 그림 참조 ]]] ※ [오답 체크] ② 공실에 있는 축압식 소화기의 압력계는 정상압력 미달이므로 교체해야 한다. ③ 기압식 소화기는 폭발 우려가 있으므로 폐기해야 하고, 축압식 소화기는 압력계는 정상에 있으므로 정상이다. ④ 창고 : 법적으로 면적미달로 소화기 미설치 구역이지만, 비치해도 관계없다.
☞ [25년_에듀윌_[[ P233__ 37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34__ 38번 그림 참조 ]]] ※ [오답 체크] ① ③ ④
☞ [25년_에듀윌_[[ P235__ 39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36__ 41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37__ 43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5238__ 44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5239__ 45번 그림 참조 ]]]
☞ [25년_에듀윌_[[ P241__ 48번 그림 참조 ]]] ㉠㉡㉢㉣
※ [알아 보기] ⇒ 피난약자의 피난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공통사항 * 건물에 대한 이해 * 피난약자에 대한 현황 파악과 피난보조요령 등 숙지 * 적절한 설비 설치 * 소방안전교육 및 훈련 실시. * 효과적인 피난시스템 구축